학회소식         공지사항

歷史敎育 118輯(2011.6.)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757

[論 文]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등급별 평가 수준 위계화 방안
金 美 先
1. 머리말
2. 역사과 평가목표와 평가내용의 위계성
3. 등급별 평가 수준의 위계화
4. 맺음말

학교 교육에서 날로 격하되고 있는 한국사의 위상을 높이고 일반인들에게 한국사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키려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하 ‘역시’, 歷試)의 실시 의도는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역시’를 주관하고 있는 국사편찬위원회에서는 지난 2006년 11월 이래 해마다 2회씩 실시하던 ‘역시’의 실시횟수를 2010년에는 연 3회로 확대했으며, 2012년부터는 연 4회로 확대하기로 하였다. 또한 국외 응시자를 위해 실시지역을 확대하고 있다. 이는 초등중등대학생 및 일반인,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및 국외의 해외 동포와 현지인까지한국사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하나의 방증이라 할 수 있다. 2007년에는 ‘역시’ 관련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를 통과하면서 그 활용 범위가 더욱 넓어지게 되어, ‘역시’ 점수가 공무원이나 기업의 신입사원 선발에 활용되고 있으며, 입시전형에도 ‘역시’ 점수를 활용하는 특목고와 대학의 숫자도 증가하고 있는 중이다. ‘역시’에 대한 수요가 그 활용 범위의 확산에 힘입어 이렇듯 증가하고 있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다양한 분야에서의 ‘역시’ 점수 활용은 국가기관의 주도하에 실시되는 시험이 기존 암기 위주의 평가방식에서 벗어나 응시자의 고차원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능력을 평가하는 방식에 대한 신뢰라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역시’가 도입 의도에 부응할 수 있는 타당성 있는 평가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균형 잡힌 역사의식을 갖도록 하기 위해 폭넓은 역사지식을 출제하는지, 그리고 ‘역시’의 수요 증가가 단순히 자격증을 얻기 위한 하나의 수단에 불과한 것은 아닌지에 대한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지적의 밑바탕에는 ‘역시’가 등급별로 한국사 능력에 대한 국가 공인의 자격증을 부여하고, 응시자의 수준에 합당한 실력 인증을 수행하는 전문적인 평가제도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각 위계에 적합한 평가목표와 내용에 대한 등급별 위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이 깔려있다. 최근까지 ‘역시’를 통해 한국사 지식에 대한 능력이나 사고력을 검증해보려는 관심은 확산되고 있지만, ‘역시’ 제도가 체계적인 방안으로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검증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11회까지 시행된 ‘역시’에 관한 연구 성과는 그다지 많지 않다. ‘역시’와 관련된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최상훈 등이 제1회 ‘역시’의 평가결과를 분석하였고, 김수미가 ‘역시’ 12회 시험 문항을 분석하였으며, 최현주가 ‘역시’ 1~5회 4급 시험문항을 국사교육 목표와의 관련성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 외에 ‘역시’만을 연구한 것은 아니지만 ‘역시’의 평가문항을 대상으로 그 형식과 소재의 위계성을 분석하고 역사영역의 목표준거를 설정한 연구도 있다. 그러나 ‘역시’를 대상으로 평가 수준의 위계화에 관한 연구는 없다. 이 연구에서 설정하고자 하는 ‘역시’에서 ‘준거’의 의미는 응시자가 시험을 통해 도달해야 할 기준으로서 목표준거와 내용준거로 구분할 수 있다. 목표준거는 역사영역의 평가에서 측정하려는 응시자의 사고와 관련된 능력으로, 응시자가 정해진 역사적 사고능력에서 어느 정도 수준에 도달했는가에 관심을 갖는다. 특히 ‘역시’는 준거참조평가로 응시자의 목표 도달정도에 대한 판단과 밀접한 관련을 갖기 때문에 목표준거와 각 준거에 따르는 세부항목을 등급별로 설정하는 일은 ‘역시’와 같은 검정시험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목표준거는 평가를 통해 측정해야 할 대상을 행동목표로 구체화하여 설정한다. 예를 들어, ‘역시’의 목표준거 중 ‘역사지식의 이해’에 대한 세부항목을 초급부터 고급까지 등급에 맞게 위계를 설정하는 것이다. 내용준거는 평가문항을 제작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평가하려는 내용이며, ‘무엇을 평가하느냐’의 문제에 대한 대답이 될 것이다. 내용준거는 ‘내용요소’와 ‘내용요소를 구체화한 사실’을 중심으로 하여 규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용준거는 목표준거를 보다 구체화시킨 것으로 목표준거의 내용이라고도 할 수 있다. 내용준거는 기본적으로 수험생이 정규 교육과정을 통해 습득하고 있는 한국사의 수준을 고려하여 규정되어야 한다. 물론 ‘역시’의 응시자가 초중고등학생을 넘어 일반인에게까지 확대되고 각종 자격기준으로도 활용되고 있어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과서 수준이 아닌 일반인의 교양 수준을 고려할 것인지, 아니면 역사교육에서 강조하는 기본 학습요소를 추출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의 여지가 있다. 그러나 비정규 교육을 통해 습득하는 한국사는 그 범위가 너무 넓어 한계를 지울 수 없을 뿐 아니라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에게 혼란을 가중 시킬 것이다. 그동안 ‘역시’에서 평가내용을 학교 교육에 준해 규정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도 여기에 근거한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을 기본으로 설정하고 정규 교육을 통해 인지하고 있는 응시자의 한국사 수준을 고려한 목표준거와 내용준거를 규정하여 이를 등급별로 위계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규정기준은 수험생에게 학습내용을 보다 명확히 안내하기 위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평가문항의 제작과정에서도 유용하다. 문항 제작자가 각 등급에 적절한 문항의 수준을 유지하고 문항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서도 등급별로 내용준거가 위계화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구성되었다. 첫째, 기존에 이루어진 교육목표분류와 역사영역 교육목표분류에 관한 연구를 검토하여 ‘역시’에서 제시하고 있는 영역별 목표준거의 위계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영역별 교육목표의 세부항목들을 검토하여 ‘역시’의 영역별 목표준거의 하위요소를 위계화 하는 데 이론적 토대로 삼았다. 둘째, ‘역시’의 평가내용을 위계적으로 조직하기 위해 역사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내용의 조직 원리를 기본으로 계열성 및 위계성과 관련된 논의를 검토하였다. 셋째, 초중고등학교의 역사과 교육과정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성취기준 및 대학에서 사용하는 한국사 개설서에 나타난 중요 내용요소를 검토하였다. 이 작업은 ‘역시’의 평가범위 설정과 내용 요소를 위계화하는 데 활용하였다. 넷째, 위의 작업을 바탕으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의 목표준거에 대한 세부항목과 평가내용의 위계화 방안을 고려하였다. 특히 평가내용을 설정할 때에는 수많은 역사적 사실을 모두 다룰 수는 없으므로 중요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중심으로 등급에 따라 위계화하여 제시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고려시대 국왕 잔치의 양상과 그 성격
韓 政 洙
1. 머리말
2. 잔치의 의미와 국왕 잔치의 종류
3. 국왕 잔치의 설행 양상
4. 국왕 잔치의 성격과 추이
5. 맺음말

고려시대 국왕 잔치는 그 규모와 횟수 등을 볼 때 국가운영 방식의 틀에서 중요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국왕 잔치의 운영에 대해 본격적으로 살펴보려는 첫 시도이다. 이를 위해 유교적 관점을 반영하면서 고려 국왕의 일상과 의례 등에서 찾아지는 국왕 잔치의 종류, 내용 및 전개, 의미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고려시대 국왕 잔치는 기본적으로 嘉慶을 맞아 군자인 현량을 위해 혹은 백성을 위해 嘉會를 열어 和樂함으로써 국왕의 권위와 은혜, 조화를 추구하는 德政을 행하는 하나의 과정이었다. ‘宴’, ‘曲宴’, ‘置酒’, ‘享’, ‘酺’, ‘饗’ 등의 잔치를 통해 군신 간의 義理와 尊讓, 長幼의 질서, 서로 대하는 禮를 이루어 君臣和樂을 꾀하려 했다. 나아가 養老와 백성들을 위한 잔치까지를 통해 국왕은 백성들과의 소통을 시도하였다. 그것은 ‘잔치의 정치’라 할 정도로 다양하였다. 이들 대부분은 嘉禮․賓禮로 조정되기도 했다. 그 이면에는 사치와 황음 등 宴樂에 빠지는 모습〔溺於宴樂〕도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바처럼 고려시대 다양한 국왕 잔치는 국가질서의 정점에 서 있는 국왕의 권위를 확인하고 덕을 베푸는 자리이자 군신화락 및 백성 교화의 자리로서 의미가 컸던 것이다.


朝鮮前期의 貨幣論
朴 平 植
1. 序 言
2. 高麗後期의 貨幣問題와 貨幣論
3. 國初의 ‘利權在上’論과 貨權掌握
4. 貨幣論의 推移와 그 性格
5. 結 語

이 논문은 조선전기의 화폐인식과 화폐론을 이 시기에 펼쳐진 화폐정책을 배경으로 하여 정리한 연구이다. 조선전기 조선에서는 조폐권의 국가장악을 전제로 하는 ‘利權在上’論에 근거한 집권국가의 화폐론과 화폐정책이 저화와 동전의 보급 실패에서 보듯이 국초 이래 거듭하여 실패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같은 國幣 보급의 좌절에도 불구하고 현실의 교환경제에서는 고려후기 이후 5승 麻布에 기초한 通貨秩序가 수립된 이래, 국초의 綿作 보급에 힘입어 이제 綿布에 기초한 布貨經濟의 기반이 점차 확대되고 있었다. 15세기 후반 성종조 이후, 특히 16세기에 들어 본격화한 교환경제의 성장과 그에 따른 場市와 麤布의 전국적 확산은 결국 이 시기 화폐의 유통이 ‘麤布經濟’라는 새로운 화폐경제 단계에 진입하였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16세기 중종․명종조에 들어 조정에 등장하는 교환수단으로서의 국폐의 필요성에 대한 주목과, 동전유통에 대한 지지의 확산 추세는 결국 주전 원료인 銅의 공급문제가 해결되면 언제든지 국가정책과 민간의 교환경제 모두에서 동전이 유통될 수 있는 화폐유통의 기반이 그만큼 확대되고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동전 유통론은 이후 임진왜란이라는 미증유의 국가위기, 특히 재정의 파탄 속에서 ‘이권재상’을 통한 국가재정의 보충이 다시금 강조되면서, 이제 저화를 배제하고 유일한 국가발행 가능 화폐로서의 그 지위를 확립해 가고 있었다.


미군정기의 무역정책과 조선인의 반응
宋 圭 振
1. 머리말
2. 무역통제정책과 무역기구의 정비
3. 무역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방안 모색
4. 무역정책에 대한 조선인의 반응
5. 맺음말

1945년 8월 15일 일제로부터 해방되자 조선인은 새로운 희망을 갖고 한반도를 자주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그러나 815해방 이후 미군의 주둔과 주권문제, 38선문제, 신탁통치문제 등 정치적 문제와 아울러 통화팽창과 물자부족 등 경제적 문제로 혼란을 겪었다. 1945년 9월 8일 미군이 진주하여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이 수립되기까지 남한지역에는 3년 동안 미군에 의한 군사통치가 실시되었는데, 이 시기를 일반적으로 미군정기라 한다. 미군정기는 한국현대사에서 시간적공간적으로 연속성과 단절성을 공유하고 있다. 그런데 미군이 진주한 후 미국이 내린 정책은 한국의 국가기구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런 중요성 때문에 제도형성과 그와 관련한 정치운동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미군정기의 경제정책도 제도형성과 정치운동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많은 주목을 받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농지개혁, 귀속재산처리, 농민정책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금융정책, 재정정책, 무역정책 등에 대해서는 아직도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의 경제성장에서 무역이 차지한 역할에 대해서는 이미 상식적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지만 한국무역을 역사적 시각으로 분석한 연구가 그다지 많지 않다. 박정희정권 시기에 이루어진 경제성장을 다룬 많은 연구서에도 그 이전 시기의 무역에 대해서는 대부분 간략하게 언급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또 그 내용이 미군정기의 무역이 국민경제적 기반을 건설하려는 방향과는 거리가 있었으며 원자재가 수입되기도 했으나 국내 생산과는 관련이 없이 무역이 이루어졌다는 시각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박진희, 이정희, 차철욱의 연구는 미군정기의 무역을 구체적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박진희는 해방 전 조선의 무역과 산업은 엔블럭이라는 경제적 고리를 통해 무역과 산업이 통제정책의 결과물로 나타난 반면, 미군정기는 새로운 자본주의로의 편입과정이면서도 미국으로 예속됨을 보여준다는 관점에서 무역품과 생산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이정희는 한일국교정상화 이전의 한일관계를 밝히기 위한 출발점으로 미군정기 한일무역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차철욱은 미국의 대한정책 가운데 한일무역을 통해 한일간의 역사적 경제주도와 그 연관성, 조선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며 미군정기의 한일관계는 단절이 아니라 계속되고 있었음에 주목했다. 이 연구들은 개설적인 수준에 머물렀던 기존연구에 비해 미군정기의 무역정책과 무역실상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밝혔고 무역과 산업이 유기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었다는 주장을 함으로써 미군정기의 무역연구를 한 단계 진전시켰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분석자료로 주로 『조선경제연보』와 『경제연감』을 비롯한 연감류와 미국 문서 가운데 일부 자료만을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무역정책이 입안되었던 상황과 내용을 생동감 있게 그려내지 못했으며, 무역정책도 무역통제정책만 다루고 무역활성화정책 등을 경시한 문제가 있다. 또한 미군정의 정책만을 다루었기 때문에 미군정과 조선인의 상호작용과 역동성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음으로써 나름대로 자신들의 입장을 반영시키고자 했던 조선인의 주체적 활동에 대해서는 거의 주목하지 못한 한계도 있다. 필자는 기존 무역연구에서 크게 활용하지 않은 당시『미군정법령집』과 신문자료를 통해 미군정기의 무역정책과 조선인의 반응을 보다 입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미군정기의 무역정책을 미군정만이 아닌 조선인도 함께 참여했다는 의미에서 무역통제정책과 무역활성화를 제도적 방안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실행과정에서 조선인이 어떻게 반응하고 이러한 조선인의 활동이 미군정의 무역정책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도 아울러 살펴볼 것이다.


과학이라는 전통의 창출과 홍이섭의 조선시대 과학사 연구
-조선과학사를 중심으로 -
鄭 多 函
1. 서론
2. ‘전통’과 ‘근대성’의 딜레마
3. ‘유교’로부터 분리된 ‘과학’
4. ‘世宗’과 ‘實學’이라는 과학적 전통
5. 홍이섭 이후의 문제들: 결론을 대신 하여

홍이섭은 영정조대를 중심으로 나타난 實學이라는 흐름을, “세종조 이후의 부흥기로 사상적으로도 독자적인 실용적인 방면으로 새로운 경지를 개척한 것”이라 평가한 바 있다. 이는 그가 세종대 雜學의 발전과 영정조대를 중심으로 나타난 이른바 실학이라는 두 개의 역사적 현상들을 어떻게 조선에 있어서의 보편과학의 끊임없는 발전이라는 선형적인 틀 속에서 자리매김하였는가를 잘 보여준다. 홍이섭은 조선시대를 근대성과 유교적 전통, 서구와 동양, 진보와 정체라는 이항대립의 인식론으로 이해했기 때문에 그 봉건적 제약을 강조할 수밖에 없었고, 15세기와 18세기를 중심으로 그 전통 속에서 서구적 근대과학에 유사한 것들을 분리해 내고 이를 서구적 근대 과학기술의 체제 속에 분류해 넣는 방식으로 조선 나름의 과학적 전통을 상상하려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이항대립의 인식론적 틀 안에서 조선이 후진적인 동양적 봉건사회로 정의되는 한, 그 안에서 이른바 보편적 과학기술이 서구적인 근대 과학기술로 발전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었다. 따라서 그가 아무리 긍적적으로 평가하려 해도, 그가 강조했던 세종대 과학기술의 발전이나 영정조대의 “實學”의 발전은 모두 기껏해야 그러한 조선사회에서 예외적으로 잠시 빛을 발했던 사례 정도로 평가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동시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에 의해서 처음으로 이러한 두 시기가 한국사에서 보편적 과학이 고대로부터 근대까지 끊임없이 진화하였다고 상상하는 선형적 틀 속에서 비록 예외적이나마 이른바 보편적 과학발전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점으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두 시기는 홍이섭 이후의 한국사 연구와 한국과학사 연구가 한국사 안에서 면면히 진화해 온 과학적 전통을 상상하는 데 가장 중요한 근거가 되는 두 지점이 되었다. 왜냐하면 그가 이 두 시기를 예외적인 것으로 정의했음에도 불구하고 바로 그 과정을 통해, 어쨌든 조선시대 세종대 이전의 과학기술과 15세기 세종대를 중심으로 한 과학기술의 미세한 차이, 그리고 15세기 세종대의 과학기술과 18세기 영정조대 실학 사이의 미세한 차이가 좀 더 명확해졌기 때문이었다. 그는 거의 300년을 격한 이 두 시기를 보편과학의 발전이라는 가정 하에서 서로 필연적 인과관계로 연결시키지는 못한 채로 조선과학사를 마쳤다. 그러나 그가 보편과학의 발전이라는 가정 하에 제공했던 선형적 역사발전의 틀과 그 안에서 미세하게 드러난 위 두 시기 과학기술 발전정도의 차이는, 그 이후의 학자들이 적어도 조선시대 내내 ‘내재적’으로 발전하는 ‘보편과학’을 상상하도록 만들기에 충분한 자극이었다. 홍이섭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가, 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이어지는 내재적인 과학의 발전을 상상하려 했던 1960년대 이후 현재까지의 한국 역사가들에게, 홍이섭이 세종대와 영정조대의 과학기술의 발전을 조선시대에 나타난 예외적인 사례로 개념화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극복해야 할 한계 혹은 딜레마였다. 그러나 동시에 그 딜레마는 홍이섭 이후의 한국 민족주의 역사가들이 물려받은 중요한 유산이기도 했다. 왜냐하면 그들은 홍이섭이 던져준 딜레마로 인해, 그가 중시했던 그 두 시기를 중심으로, 그럼 과연 어떻게 홍이섭이 우리의 것이 아닌 낡은 중화중심주의에서 온 전통으로 보던 것을 “우리”의 자랑스러운 전통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어떻게 홍이섭이 정체되어 쇠퇴할 수밖에 없는 것으로 보던 그 전통을 근대를 향해 계속 발전하는 전통으로 상상 내지는 재정의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다음 단계의 고민을 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批評論文]
일제강점기 초등 ‘국사’교과서에 수록된 삽화의 현황과 특징
金 寶 林
1. 서언
2. 분석 대상 초등 ‘국사’교과서의 특징
3. ‘국사’교과서의 삽화 수록 현황
4. ‘국사’교과서 서술과 삽화의 특징
5. 결어

교과서에서의 삽화는 문자와 달리 교과내용을 시각적인 형태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아직 문자를 제대로 익히지 못한 저학년의 학생들에게 효과가 크며 감정과 정서교육에 영향을 미치고 행동의 표본 양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교육적 의의가 있다. 본고에서 다룰 ‘국사’교과서에 사용된 삽화란 그림, 사진, 지도 등 지면에 시각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사진은 글과는 달리 역사적 사실이 일어났던 당시의 상황을 그대로 전달하고, 그림은 사진에 비해 그린 사람의 편집과 해석이 많이 들어가지만, 당시 사람들의 생활모습과 사고방식을 전해준다는 점에서 사진과 비슷한 기능을 한다. 특히 역사지도에는 시간적 변화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으며 지도를 만든 사람의 해석이 강하게 들어가는 특징을 가진다. 율리(N. Yuill)와 죠실린(T. Joscelyne)의 연구에 의하면, 7~8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교수 내용의 제목과 함께 삽화를 함께 제시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학습 효과가 더 높다고 한다. 삽화는 객관적인 논조를 유지하는 본문 텍스트의 내용을 보강하고 이를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교과서에 사용된 삽화는 텍스트와 마찬가지로 이를 선택한 사람들의 역사인식이 담기게 되며 그러한 선택이 가능하게 하는 시대적 배경도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일제강점기 사용된 ‘국사’교과서의 삽화에 대한 분석은 당시 일제가 한국인들에게 주입하고자 한 역사인식에 대한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일제강점기 초등교육에서의 역사 과목은 민족의 ‘동화’와 ‘일선동조론’, ‘황국식민사관’, ‘내선일체’의 슬로건을 이루기 위해 전 교육과정을 통해 그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는 주요한 것이었다. 조선총독부가 편찬한 ‘국사’교과서에서는 삽화의 유용성을 일제의 식민교육정책에 맞도록 적절하게 사용하였다. 일제강점기에도 삽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삽화는 다른 사료에 비해 가장 쉽게 참고할 수 있으며 아동에게도 적응하기가 쉽다고 보고 있다. 1930년대 말 삽화에 관한 글을 쓴 코지마 사다(小島貞)는 “국사의 직관, 국사의 具象化의 한 방법으로서 삽화를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시국이 위중하므로 학습의 흐름에 따라 삽화의 정신을 이야기 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여 당시 삽화의 기능을 전쟁 수행의 한 방편으로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삽화에 관련된 연구로서 김순전은 일제강점기 수신교과서의 삽화를 분석하여 일제강점기 삽화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고, 최지현은 현행 세계사 교과서 삽화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역사교과서에 사용된 삽화와 지도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로서, 본고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사용된 ‘국사’교과서의 종류와 그 특징을 살펴보고 당시 삽화의 指導와 관련하여 어떠한 논의가 이루어졌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국사’교과서에서 활용된 삽화의 특징을 고종 황제와 명치 천황의 대비, 한국병합, 황국신민화와 국민교화, 전쟁동원이라는 네 가지 주제로 분석해 볼 것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국사 교육
崔 埈 彩
1. 서언
2. 교육과정 변화와 <국사> 과목
3. 집중이수제의 문제점
4.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국사> 과목의 변천과 영향
5. 제언

학교 현장에서 최근 가장 화두가 되고 있는 것은 역시 교육과정 개정일 것이다. 원래 5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정기적으로 개정해왔던 교육과정이 2007년 이후 두 번이나 개정되어 여러 가지로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는 이러한 교육과정이 왜 개편되었는가, 또는 그 방향은 바람직한 것인가하는 원론적인 문제는 접어두고 아주 단순하게 새로운 교육과정 적용으로 인하여 고등학교에서 국사 교육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밝혀보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 주로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편성표에 의거하여 실제 고등학교 현장에서 국사 수업 시수는 얼마나 변화하였는지, 그리고 새로운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집중이수제는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전체적인 국사 교육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중학교 8학년과 9학년에 편성되어 있는 <역사> 과목에서 한국사 영역의 내용 요소와 교육과정도 고등학교의 선행 학습 내용으로 분석하였다.


日本史 속의 ‘韓國 이미지’ 小考 - 허상과 실상의 사이 -
金 成 奎
1. 머리말
2. ‘負’의 이미지: 일본적 華夷觀에 대한 단상
3. ‘스승생도론’에서 본 한일관계
4. 근현대 이후의 ‘스승생도론’ : 맺음말에 대신해서

최근 일본의 중국사 연구서 시리즈 중의 한 권으로 도나미 마모루(蠣波 護) 등 공저 일본에게 중국이란 무엇인가(日本にとって中國とは何か)라는 책이 출판되었다. 일본에서는 오래전부터 이처럼 자기 자신의 역사를 중국과 관련지어 생각해보는 시도가 많으며, 그 때마다 자신의 문화적 始原点이 중국에 있음을 자각하고 또 확인한다. 이에 비해 일본인들에게 이웃하는 한국이 자신들에게 역사적으로 미쳤던 다양한 영향에 대해서는, 최근 한국에 대한 관심이 한편으로 부쩍 늘어나고 있기는 하지만, 결코 그것이 본질적이라고는 여기지 않으며 ‘중국의 아류’ 정도라는 인식을 벗어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전통시대의 소위 ‘동아시아문화권’ 속에서 한국의 문화적 영향이 중국만큼 광범했다고는 보기 어렵다. 다만 한국은 특히 일본과 지리적으로나 역사적 관계에서 중국보다 훨씬 가깝고 밀접하며, 교류도 그만큼 활발했던 점에서 일본이 한국의 영향을 간접적이거나 이차적인 수준에서 받는 데 머물렀다는 것은 사실에 반하는 인식이라고 생각한다. 한국의 영향은 일본에게 때로는 중국 이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실태는 중국에 비해 실제보다 왜소화되고 은폐된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그래서 필자는 여기서 도나미씨에 대응해 내용적으로 “일본에게 한국은 어떤 존재였는가”라는 다소 과감한 문제를 제기하여, 일본인이 역사적으로 그려온 한국에 대한 인식과 그와 관련된 기술의 특징, 그리고 그에 반해 한국이 일본에 미친 영향을 對比시킴으로써 한국이 일본에게 과연 어떤 존재였는지에 대한 문제의 일단에 접근해 보려한다. 다만 필자는 이 주제를 전문적으로 연구한 사람이 아니며, 따라서 학계의 연구 정보에 어두워 사항에 따른 인식의 한계와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고 싶다. 또한 한일 간의 관계를 이야기하는 소론에서 필자는 가능한 객관적인 연구자의 입장에 서려하지만, 본론에서 다루려는 문제의 중요 부분이 한국에 대한 일본인의 역사적 오해의 정정을 구하려는 면이 있기 때문에 많건 적건 한국의 입장에 서지 않을 수 없음도 함께 미리 전제하고 싶다. 소론은 한국의 한 중국사 연구자의 입장에서 느껴본 한-일 관계사의 몇 가지 단면에 대한 雜感을 피력한 글이다.


[彙 報]·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