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학회행사         학술대회         학술대회 안내/일정표

전덕재 저, 신라 국경 변천사, 학연문화사(2025.07)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58



신라 국경 변천사』는 이사금 시기부터 후삼국 시대의 신라가 어떤 과정을 통해 국경을 확장하고, 외세와 경쟁하며, 또 최종적으로 국경선을 잃고 역사 속으로 퇴장하게 되었는지를 총체적으로 조망한 역사서이다. 기존의 정치·문화 중심 서술에서 벗어나, 공간과 지리라는 축을 중심으로 신라사의 실체를 새롭게 그려낸다.

책은 신라가 동해안에서 고구려와 어떻게 대치했는지, 백제와 충북 내륙에서 어떤 국지전을 벌였는지, 가야 세력과의 복속과 병합이 어떻게 이뤄졌는지를 구체적으로 추적한다. 특히 삼국 간의 세력 판도가 급변하던 5~7세기의 전투와 정복 사업은 물론, 통일 이후에도 계속된 고구려 유민과 발해 세력, 그리고 당나라와의 긴장 속에서 신라가 어떻게 국경을 관리하고 방어했는지를 풍부한 사료를 토대로 재구성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이 책이 고대 지명을 오늘날의 행정구역 및 지형과 면밀히 비교하여, 과거의 전쟁터와 경계선을 생생하게 되살려낸다는 것이다. 독자들은 신라의 국경이 낙동강, 소백산맥, 한강, 대동강 등을 경계로 어떻게 설정되고 이동했는지를 시기별로 따라가며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 책은 단순히 전쟁과 정복의 역사만이 아니라, 국경이 정치적 공간으로서 어떻게 행정화되고, 성곽과 군현으로 조직되며, 인접국과 어떤 외교적 긴장관계를 형성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고대 국가 형성 과정의 본질을 짚는다. 천년 왕조의 부침과 그 말미에 벌어진 후삼국 간의 치열한 패권 다툼까지 아우르는 이 서술은 신라사 전반을 공간사적 시각에서 조망하는 귀중한 시도이다.

『신라 국경 변천사』는 고대사 연구자와 역사 전공자에게는 깊이 있는 연구 자료로, 일반 독자에게는 신라사의 복잡한 외연 변화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흥미로운 안내서로 다가갈 것이다. 복원된 지리 정보와 시대별 국경의 변화는 독자들에게 과거의 신라를 지도로 그리듯 생생하게 체감할 수 있게 해준다.


목차
국문초록 / 4
서론
1. 연구 동향과 쟁점 / 15
2. 연구 방법과 내용 / 37
1) 연구 방법 / 37
2) 본서의 내용과 구성 / 43

1부 | 상고기(上古期) 신라의 국경과 그 변천
1. 4세기 후반 이전 신라의 경계 / 53
1) 동북 경계 / 53
2) 영서지역에서의 신라와 백제의 대립 / 57
3) 서북 경계 / 66
4) 신라와 구야국(금관국)의 경계 / 87
2. 마립간시기 신라의 경계 / 91
1) 동북 경계의 변동 / 91
2) 서북 경계 / 103
3) 신라와 대가야의 경계 및 그 변천 / 124
(1) 5세기 후반~6세기 전반 신라와 대가야의 경계 / 124
(2) 5세기 중반과 그 이전 신라와 대가야의 경계 / 135

2부 | 중고기(中古期) 신라의 영토 확장과 국경의 변동
1. 진흥왕의 영토 확장과 동북 경계의 변화 / 147
2. 한강유역 진출과 서북 경계의 변동 / 157
1) 6세기 중반 충주·청주지역 진출 / 157
2) 한강유역 진출과 신주(新州)의 설치 / 165
3) 7세기 전·중반 신주의 서북과 동북 경계 / 177
3. 신라의 서진(西進)과 가야 병합 / 193
1) 신라의 낙동강 서안 진출 / 193
2) 신라의 가야 병합 / 202

3부 | 통일신라의 국경과 변천
1. 660년 신라와 백제의 경계 / 219
1) 충청지역의 경계 / 219
2) 영·호남의 경계 / 226
2. 웅진도독부 51현의 위치와 신라와의 경계 / 239
1) 51현의 위치 비정 / 239
2) 웅진도독부와 신라의 경계 / 256
3. 7세기 후반 이후 서북 경계의 변동 / 265
4. 신라와 발해의 경계 / 280

4부 | 후삼국시기 신라의 쇠퇴와 영역 축소
1. 견훤·궁예의 세력 확장과 신라 통치기반의 위축 / 301
2. 낙동강을 둘러싼 후백제와 고려의 영역다툼 / 321
3. 930년대 신라의 영역과 멸망 / 336

결론 / 347
참고문헌 / 371
영문초록 / 398
찾아보기 / 406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