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소식         공지사항

활자본 고소설 자료의 형태소 분석과 형태소 분석기 개발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927

전문가 초청 특강 및 중간 발표회







◈ 모시는 글




오는 4월 25일(금) 경희대학교 인문학 연구원 활자본 고소설 전산화 및 형태분석 말뭉치 구축팀 주최로 ‘활자본 고소설 자료의 형태소 분석과 형태소 분석기 개발’을 위한 전문가 초청 특강 및 중간 발표회를 열게 되었습니다.

특히 주제 특강을 맡아주신 박진호?이용훈 선생님은 자연언어처리와 국어사 연구에 해박한 지식과 현장 실무 능력을 두루 갖추신 분들로, 본 연구팀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어사 자료 형태소 분석기 개발과 형태분석 말뭉치 구축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시리라 기대됩니다.

본 행사가 역사 자료에 대한 형태소 분석 및 형태소 분석기 개발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자리가 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주 제 : 활자본 고소설 자료의 형태소 분석과 형태소 분석기 개발

○ 일 시 : 2008년 4월 25일(금) 16:00-18:00

○ 장 소 : 경희대학교 본관 403호

○ 주 최 : 경희대 인문학 연구원 활자본 고소설 자료 전산화 및 형태분석 말뭉치 구축팀

○ 후 원 : 학술진흥재단




◈ 프로그램 사회 : 차재은(경기대)



시 간

주 제

발 표 자


16:00-16:40

<주제 발표 1>

활자본 고소설 형태 분석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문제

-품사 통용과 띄어쓰기를 중심으로-

김건희(경희대)


16:40-17:20

<주제 특강 1>

한국어 분석 및 태깅

이용훈(포항공대)


17:20-18:00

<주제 특강 2>

활자본 고소설 자료의 형태 분석 원칙에 대한 국어학적 고찰

박진호(한양대)



◈ 발표자 소개

박진호 교수 :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표 저서 : (연규동, 최운호 공저), 인문학을 위한 컴퓨터, 서울: 태학사. 2003.

(김종복 외 공저), 한국어 정보화와 구문분석, 서울: 도서출판 월인. 2004.

대표 논문 : 자연언어처리와 국어 연구, 국어국문학 143, 서울: 국어국문학회. 2006.

보조용언의 전산 처리에 있어서의 몇 가지 문제, 한국어학 35, 서울: 한국어학회. 2007.

이용훈 석사 : 포항공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박사과정

대표 논문 : (김미영, 이종혁 공저), Chunking Using Conditional Random Fields in Korean Texts, IJCNLP 2005, Springer-Verlag. (Oct. 2005).

(이종혁 공저), 국내외 전자사전 개발의 현황과 전망, 서울: 한국사전학 8. 2006.

김건희 박사 : 경희대 인문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대표 논문 : ‘N 같다’, ‘N같다’에 대한 연구- 합성어로서 사전에 등재해야 하는 ‘N같다’ 판별을 중심으로-, 국어학 50, 서울: 국어학회. 2007.

1910-1930년대 활자본 고소설의 몇 가지 문법적 특징 연구, 한국어학 35, 서울: 한국어학회. 2007.




◈ 연락처

연구책임자 김진해 : 016-288-8364 jinhae@khu.ac.kr

전임연구원 김건희 : 016-421-0630 kenee2@snu.ac.kr




◈ 찾아오시는 길

주소 : 130-701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동 1 경희대학교 본관 403호

전철 : 1호선 회기역(경희대행 마을버스)

버스 : 1217, 147, 261, 1222, 705번

 첨부파일
활자본_고소설_자료의_형태소_분석과_형태소_분석기_개발_2차_중간발표회_초청글.hwp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