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원사학회 기획발표회 개최 안내>
회원 여러분께
올해에도 변함 없이 <효원사학회 기획 발표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효원사학회 단독이 아니라,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그리고 부경역사연구소와 함께 하는 공동 학술 심포지움 형식입니다.
해방 70년 공동학술심포지엄 “한일역사연구의 쟁점”
기획의도
- 해방 70주년과 한일회담 50주년을 기념해, 역사학계에서 진행된 한일 연구의 쟁점을 주제로 한다.
- 근현대 한국역사 연구를 대상으로 한일 양국 연구자들의 연구쟁점이 한국 역사학계와 사회의 담론을 구성하는데 미친 역할을 검토한다.
본 심포지엄은 역사학계의 쟁점 논의라는 제한된 연구로만 머물지 않고, 양국 관계의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는 출발로 삼는다.
일자 : 2015년 9월 18일(금) 13:30-18:00
장소 : 부산대학교 인덕관 대회의실, 인덕관 소회의실, 약학관(구관) 101호
주최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사)부경역사연구소, 효원사학회, 부산대 역사교육과
후원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13:00-13:30 등록
13:30-13:40 개회식
장소: 인덕관 대회의실
진행사회: 차철욱(부산대)
개회사: 조흥국 효원사학회 회장
김동철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소장
오인택 부경역사연구소 소장
13:40-14:20
기조강연: 제2차 세계대전 후 일본에서 신세대 연구자들의 발자취/요시다 미츠오(일본 방송대학)
14:20-14:40 휴식
□ 1세션: 고대사(인덕관 대회의실)(좌장: 정효운, 동의대)
14:40-15:10
한사군의 위치비정과 한일관계
발표: 윤용구(인천광역시청), 토론: 백승옥(부경대)
15:10-15:40
백촌강 전투의 史的 의의
발표: 이재석(한성대), 토론: 선석열(부산대)
15:40-16:10
한일양국의 ‘임나일본부’를 바라보는 시각 변화의 추이
발표: 이연심(부산시사편찬위원회), 토론:남재우(창원대)
16:10-16:30 휴식
16:30-18:00 종합토론
□ 2세션: 중세사(인덕관 소회의실)(좌장: 오인택, 부산교대)
14:40-15:10
임진왜란을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발표: 김강식(해양대), 토론: 양흥숙(부산대)
15:10-15:40
조선후기 사회성격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내재적 발전론과 소농사회론
발표: 염정섭(한림대), 토론: 이정수(동서대)
15:40-16:10
통신사연구의 회고와 전망
발표: 이와가타 히사히코(전남대), 토론: 심민정(신라대)
16:10-16:30 휴식
16:30-18:00 종합토론
□ 3세션: 근현대사(효원산학협동관 102)(좌장: 홍순권, 동아대)
14:40-15:10
식민자와 피식민자 사이, 재조일본인 연구 동향과 쟁점
발표: 전성현(동아대), 토론: 차철욱(부산대)
15:10-15:40
일제강점기 공업사 연구의 쟁점과 과제
발표: 배석만(고려대), 토론: 김명수(계명대)
15:40-16:10
일제식민책임 청산에 관한 한일조약체제의 과제
발표: 도시환(동북아역사재단), 토론: 최영호(영산대)
16:10-16:30 휴식
16:30-18:00 종합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