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소식         갤러리

★[한국국제정치학회] 사이버 공격(스피어 피싱) 메일 예방 방법 안내 및 주의 당부(250714 업데이트)

작성자 : 관리자
조회수 : 348
발행인: 김태형   편집: 한국국제정치학회 사무국
2025년 07월 14일 발행


KAIS Notice

한국국제정치학회 및 회원 사칭 사이버 공격(스피어 피싱) 이메일 주의 당부



  회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한국국제정치학회 사무국입니다.


  학술대회 기간, 학술지 논문 투고 기간, 자문 등을 악용하여 타학회, 공공기관, 정부 지원금,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원, 학술대회 참가자, 한국국제정치학회 등을 사칭하여 사이버 공격을 일삼는 스피어 피싱 이메일, 문자메시지, SNS 메시지(카카오톡 등) 등이 일부 회원 선생님들께 발송되고 있고, 일부 회원 선생님들께서 이메일 해킹 피해를 입고 계신 것으로 확인되어 연락드립니다.

  일전에 일부 회원 선생님께서 회원 또는 기관 등을 사칭하는 이메일을 수신하셨는데, 최근까지도 일부 회원 선생님들께서 비슷한 이메일을 수신하신 것으로 확인하였으며, 일부 회원 선생님들께서는 이메일 해킹 피해를 입고 계시고, 본의 아니게 타인에게 피해를 끼치고 계신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한 번 해킹 당하시면, 해커(북한, 중국, 러시아 등)가 회원 선생님들 컴퓨터, 노트북 등 안의 기존 정상 파일에 악성코드를 심고, 회원 선생님을 사칭하여 회원 선생님들께서 연락 주고 받으신 분들께 피싱 메일 등을 발송하는 등의 행위로 타인에게 피해를 끼치므로 각별한 주의 당부드립니다!
  (현재도 본인 이메일 계정이 해킹당하셨는지 모르고 계신 분들도 계실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해커가 본 메일을 보고 있을 가능성도 높습니다.)

  이에 사이버 공격(스피어 피싱) 메일 주요 유형과 대응방법 알려드리오니 여러 업무로 바쁘시더라도 꼭 점검해주시고, 이메일 수신·열람 시 각별한 주의 부탁드립니다.



<사이버 공격(스피어 피싱) 문자/SNS메시지 예방 방법>

STEP1. 환급, 신청, 조사 등 담당 공무원이 전화 연락하지 않음.
STEP2. 신청하지 않은 카드 배송은 배송 받으시고 처리하셔도 늦지 않음.
STEP3. 신원 보장되지 않은 타인이 설치하라는 앱은 설치하면 안됨.
          (특히 안드로이드 폰 : 갤럭시 등)

STEP4. 발신자와 대면/통화 후, 메시지(첨부파일, 링크) 확인 및 회신
STEP5. 해외 발신자 및 미등록 발신자 메시지 대면/통화 확인 후 회신
STEP6.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명의도용방시서비스' 가입


<사이버 공격(스피어 피싱) 메일 예방 방법>

※ 꼭 아래 순서대로 진행해주세요! ※
STEP1. 발신자와 오프라인 대면/통화 후, 메일(첨부파일, 링크) 확인 및 회신
STEP2. 문자, 모바일OTP 등 2단계 인증 설정을 통한 로그인 보안 강화
STEP3. 메일 설정-POP/IMAP 사용하지 않을 경우 OFF (사용하지 않음 체크)
          (학교/기관 메일과 구글 등 외부 메일 연동되어 있는지 확인!)

STEP4. 메일 비밀번호 주기적 변경 및 인터넷 브라우저 PW 저장 기능 OFF
STEP5. 의심스러운 메일 수신 여부 확인
STEP6. 모든 메일 발신자 확인 후 메일(첨부파일, 링크) 확인 및 회신 생활화



<사이버 공격(스피어 피싱) 메일 주요 유형>

① 국내·외 정세, 업무 관련 메일로 위장해 기관 또는 지인 등 사칭
② 국내·외 주요 사건·사고, 주요 정책 등 활용한 메일로 위장해 기관 등 사칭
③ 상용메일 또는 기관메일 관리자를 사칭하여 메일 비밀번호 입력 유도
④ 요청하지 않은 첨부파일을 송부하거나, 링크 클릭 또는 파일 설치를 유도
⑤ 호의 제공 또는 호의 유도 메일 발송 후, 첨부파일 작성 및 링크 클릭 유도



<사이버 공격(스피어 피싱) 메일 대응 방법>

① 메일 내 첨부파일 다운로드/작성, 메일 회신 전 발신자와 직접 통화
② 문자, 모바일OTP 등 2단계 인증 설정을 통한 로그인 보안 강화
③ 메일 설정-POP/IMAP에 모르는 메일 등록되어 있으면 즉시 신고
   (POP/IMAP 기능 사용하지 않을 경우, OFF 설정)
④ 개인 상용메일(Daum, Naver, Gmail, Hotmail 등) 보다 소속 기관 메일 사용
    (기관 메일 사용하면서 상용메일에 연동하여 사용하면 소용 없음.)

⑤ 이메일에 링크된 웹페이지 통한 비밀번호 입력 금지
⑥ 첨부파일 실행(편집사용, 콘텐츠 사용 등), 링크 클릭 시 즉시 인터넷 연결 차단
   중요 파일만 최소한으로 이동저장장치(USB 등)에 저장 후 백업!
   감염된 PC 등에 저장된 사이트 비밀번호는 전혀 다른 PC 등에서 변경!
   (PC 또는 브라우저(엣지, 크롬, 사파리 등) 등에
   웹사이트 계정 정보, 공동인증서 등 저장하지 마시고, 별도 USB 사용!)
⑦ 발신인 불명확하거나 갑작스러운 호의 제공 등 메시지 또는 메일 의심
⑧ 공용 Wifi 통한 메일 및 금융거래 등 자제, 개인 Wifi 비밀번호 및 보안 설정
⑨ 백신 소프트웨어 설치 및 전자 기기 최신버전 업데이트 유지
⑩ 평상시 해외 IP 접속 차단 설정 (국외 출국 등 필요시 잠시 해제)
⑪ 외부 메일의 본문 내 이미지/링크 차단 (필요시 잠시 해제)
⑫ 본인 이메일 계정 해외 로그인 등 비정상 로그인 이력 수시 확인
⑬ 의심 메일 원본(eml 파일) '다운로드 저장' 후 즉시 신고 (메일 전달(Forward) 불가)


감사합니다. 


한국국제정치학회 사무국 올림.










목록